사서(四書). 그리고, 조직행위론(ORGANIZATIONAL BEHAVIOR)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22:16
본문
Download : 사서(四書) 그리고, 조직행위론(ORGANIZATIONAL BEHAVIOR).doc
사서(四書). 그리고, 조직행위론(ORGANIZATIONAL BEHAVIOR)
레포트/인문사회
최종판
제 1장 원론(原論)
1. 대학의 도(道)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힘에 있으며 백성을 친근히 함에 있으며 지극한 선에 처신함에 있따
첫 대목의 在親民(백성을 친근히 하다)에 대한 해석의 다름을 통해 우리는 조직 행위론에서 거론되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구분을 떠올리게 된다
‘해설’에 따르면 주자는 이 親民을 ‘신민’으로 읽어 ‘백성을 새롭게 한다’고 해석했음을 알 수 있따 이는 백성들은 못나고 어리석다는 것을 전제로 한 생각인 듯이 느껴진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조직 행위론에서 인간의 본성을 X理論(이론)과 Y理論(이론)으로 바라본 것과 유사점을 보인다. 반면 정이천 등은 이를 ‘친민’으로 읽어 백성이란 다스리는 사람에 관계없이 언제나 천하를 지탱하는 힘으로 인식, 정치하는 사람으로서는 ‘새롭게 할 대상’이기 보다는 ‘친근히 할’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在親民을 ‘백성을 친근히 하다’로 해석하는 것은 조직 행위론에서 그 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원들을 수동적인 존재(X理論(이론)적 관점)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조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존재(Y理論(이론)적 관점)로 본 것이라고 할 수 있…(투비컨티뉴드 )
최종판 , 사서(四書). 그리고, 조직행위론(ORGANIZATIONAL BEHAVIOR)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사서(四書) 그리고, 조직행위론(ORGANIZATIONAL BEHAVIOR).doc( 47 )
%20%EA%B7%B8%EB%A6%AC%EA%B3%A0,%2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ORGANIZATIONAL%20BEHAVIOR)_doc_01.gif)
%20%EA%B7%B8%EB%A6%AC%EA%B3%A0,%2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ORGANIZATIONAL%20BEHAVIOR)_doc_02.gif)
%20%EA%B7%B8%EB%A6%AC%EA%B3%A0,%2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ORGANIZATIONAL%20BEHAVIOR)_doc_03.gif)
%20%EA%B7%B8%EB%A6%AC%EA%B3%A0,%2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ORGANIZATIONAL%20BEHAVIOR)_doc_04.gif)
%20%EA%B7%B8%EB%A6%AC%EA%B3%A0,%2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ORGANIZATIONAL%20BEHAVIOR)_doc_05.gif)
%20%EA%B7%B8%EB%A6%AC%EA%B3%A0,%20%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ORGANIZATIONAL%20BEHAVIOR)_doc_06.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