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21:21
본문
Download :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docx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
생물학,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세균
레포트 > 의학계열
그람염색은 세균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염색법이다.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고초균, 거대균 등이 이에 포함한다. 그람양성균과 음성균이 서로 다르게 염색되는 것은 근본적으로 세포벽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순서
그람 양성균
대부분 그람양성균이며, 폐렴쌍구균을 제외한 쌍구균은 거의 그람음성균이다.
단구균, 쌍구균, 사련구균, 팔련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Download :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docx( 24 )
-이러한 독특한 배열들은 세균의 생식과정에서 생기는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외독소를 생산한다. 병원성을 지닌 구균은 감염되면 염증, 화농을 일으키며 술파제나 각종 항생물질을 사용하면 치료 효과가 있다. 1884년 C. Gram 에 의해 처음 창안된 염색법으로 두 가지의 세균으로 분류된다 이후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Hucker 의 방법과 Burke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람 염색 결과 자주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양성이며 분홍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은 그람 음성이다.
그람 음성균
설명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914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3%9D%EB%AC%BC%ED%95%99%5D%20%EC%9D%BC%EB%B0%98%EC%84%B8%EA%B7%A0%EC%9D%98%20%ED%98%95%ED%83%9C%EC%99%80%20%ED%81%AC%EA%B8%B0-9147_01.jpg)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914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3%9D%EB%AC%BC%ED%95%99%5D%20%EC%9D%BC%EB%B0%98%EC%84%B8%EA%B7%A0%EC%9D%98%20%ED%98%95%ED%83%9C%EC%99%80%20%ED%81%AC%EA%B8%B0-9147_02_.jpg)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914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3%9D%EB%AC%BC%ED%95%99%5D%20%EC%9D%BC%EB%B0%98%EC%84%B8%EA%B7%A0%EC%9D%98%20%ED%98%95%ED%83%9C%EC%99%80%20%ED%81%AC%EA%B8%B0-9147_03_.jpg)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9147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3%9D%EB%AC%BC%ED%95%99%5D%20%EC%9D%BC%EB%B0%98%EC%84%B8%EA%B7%A0%EC%9D%98%20%ED%98%95%ED%83%9C%EC%99%80%20%ED%81%AC%EA%B8%B0-9147_04_.jpg)
![[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9147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83%9D%EB%AC%BC%ED%95%99%5D%20%EC%9D%BC%EB%B0%98%EC%84%B8%EA%B7%A0%EC%9D%98%20%ED%98%95%ED%83%9C%EC%99%80%20%ED%81%AC%EA%B8%B0-9147_05_.jpg)
그람염색법에서 염색했을 때 적색으로 염색되는 세균. 그람음성균의 세포벽은 얇고(약 10nm) 외측에 다량의 리포다당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람염색법을 했을 때 전 염색액의 색소가 유기용매에 녹아 자주색으로 변하는 세균. 비교적 두꺼운 세포벽이 있고(15~80nm), 대부분은 그 외층에 리포다당이 없으며, 용균소에는 대단히 감수성이 높다. 대장균, 살모넬라균, 이질균 등이 이에 포함한다. 따라서 이 층을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으로 손상시키지 않는 한, 용균소에는 비감수성이 있다. 대부분 그람양성균이며, 폐렴쌍구균을 제외한 쌍구균은 거의 그람음성균이다. 그람 양성균(Gram positive)과 그람 음성균(Gram negative)을 구별하는 염색이다. 양성과 음성은 전기적 성질과는 무관하며 단순히 형태학적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단구균, 쌍구균, 사련구균, 팔련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이러한 독특한 배열들은 세균의 생식과정에서 생기는 결과이다.
병원성을 지닌 구균은 감염되면 염증, 화농을 일으키며 술파제나 각종 항생물질을 사용하면 치료 효율가 있다 다만, 포도상구균 감염은 임상적인 치료가 곤란하다. 다만, 포도상구균 감염은 임상적인 치료가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내독소를 생산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