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data(자료)로서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7:15
본문
Download : 20032m_kuk.hwp
3. 국어사 reference(자료)로서의 석보상절
Ⅲ. 結論(결론)
Ⅱ. 본론
석보상절의표기법 석보상절 석보 상절 / (석보상절)
석보상절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data(자료)로서의 특징
순서
석보상절의 편찬 경위는 월인석보 제1권 첫머리에 실려 있는 석보상절 서와 어제 월인석보 서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Download : 20032m_kuk.hwp( 72 )
이에 의하면, 세종28년(1446년) 3월에 왕비 소헌 왕후가 붕어하매, 세종이 그 추천을 위해 수양 대군에게 석보를 만들어 번역하게 하였던 바, 수양은 승우의 석가보와 도선의 석가씨보를 아울러 가감하여 석보상절을 편찬하고, 이것을 정음으로 번역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월인석보 속의 석보상절 부분은 상당한 수정을 거쳤고, 또 권의 차례(次例)도 뒤바뀌었으므로, 합편이라는 말을 지나치게 기계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Ⅰ.서론
레포트 > 기타
2. 석보상절의 표기법
reference
설명
다.





또, 그 문체가 자연스럽고 세련된 점이 그 뒤에 나온 간정도감의 여러 불경 언해들에서 보는 딱딱한 번역체와는 유를 달리하는 것이다. 석보상절의 내용은 월인석보에서도 볼 수 있다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책이다. 석보상절은 우리 나라 최초의 번역된 경전이라는 점에서 불교사상 기념비적 업적이기도 하거니와, 국어로 쓰인 산문 작품의 효시란 점에서 국어 국문학의 소중한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석보상절의표기법 석보상절 석보 상절 / (석보상절)
석보상절의표기법 석보상절 석보 상절
1. 서지적 검토
본 해결해야할문제물에서는 석보상절의 구체적인 서지적 검토를 행한 뒤 이를 바탕으로 국어학적 특성을 밝혀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