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4:30
본문
Download : 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hwp
이것은 일상 생활에 있어, 이제부터는 철이 없는 어린 아이가 아니라 예의를 지켜야 하고,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의 책임과 의무가 주어졌음을 인식시키고, 또 밖으로는 맡은 바 일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알리고, 자기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하고, 그래서 어른으로 대접을 받게 하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관례를 할 수 없는 경우
⇒ 성년이 되는 사람이나 그 부모가 1년 이상의 복(服)을 입었을 때, 즉 부모, 조부모, 백숙부모, 형제 자매가 죽어 상복(喪服)을 입은 경우 그 복을 벗기 전에는 관례를 할 수 없다. 절도 전에는 어른에게 절하면 어른이 앉아서 받기만 했지만, 이제는 답배를 하게 된다된다. 또한 이름이 없거나 함부로 부르던 것을 관례와 계례때 지은 자(字)나 당호(堂號)로 부르게 된다된다.
▷▶관례(冠禮)와 계례(계禮)로 달라지는 것
관례와 계례를 하면 이제 어린이가 아니고 어른이기 때문에 대접이 달라진다.
⇒ 성년이 되는 사람이나 그 부모가 9개월 이상 복을 입은 상(4촌 형제 자매의 상)을 당하고 아직 장례를 치르기 전에는 관례를 하지 못한다. 말씨를 전에는 낮춤말씨 `해라`를 쓰던 것을 보통말씨 `하게`로 높여서 말한다.
▷▶예서(禮書)에 의하면 `관례(冠禮)와 계례(?禮)는 어른으로서의 책임을 일깨우는 례(禮:책성인지례 責成人之禮)로써 장차 남의 아들로서 자식의 도리를 다 하게 하고 남의 아우로서 동생의 도리를 다하게 하며 남의 신하로서 신하의 할 일을 다 하게 하고 남보다 젊은 사람으로서 젊은이의 도리를 다 하게 하…(skip)
Download : 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hwp( 90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
다.
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설명
한국과일본의의례비교
순서
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한국과일본의의례비교 , 한국과 일본의 의례 비교조사...기타레포트 ,






☆★관례(성인식)★☆
≪관례(冠禮)≫ ☞ (명) 지난날, 아이가 어른이 될 때에 올리던 예식. 남자는 갓을 쓰고, 여자는 쪽을 쪘음.
▷▶관례의 의미
관례란 어린이에서 어른이 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는 예식으로, 남자는 15세가 넘어 20세 미만에 땋아내렸던 머리를 올리고, 머리에 복건, 초립, 사모, 탕건 등의 갓을 씌우는 의식을 행하였다.